✅ 퇴직하고 나서 건강보험, 어떻게 유지하면 될까요?
퇴직을 하고 나면 제일 걱정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건강보험입니다.
젊을 때는 잘 몰랐는데 막상 회사를 그만두고 나면 병원비가 걱정되시죠.
그래서 오늘은 퇴직 후에도 건강보험을 계속 유지하는 방법을
어르신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 1️⃣ 퇴직하면 자동으로 지역가입자로 바뀝니다
퇴직하고 나면 회사에서 내던 직장 건강보험은 자동으로 끝나요.
대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역가입자로 바꿔줍니다.
따로 신청 안 해도 되지만, 보험료는 소득과 재산을 보고 매겨요.
재산이나 자동차가 있으면 조금 높아질 수 있으니 확인해보시는 게 좋아요.
📌 2️⃣ 최대 3년은 직장보험료 그대로! 임의계속가입제도
퇴직 전에 회사 다닌 기간이 1년 이상이면, 퇴직하고도 최대 3년 동안 직장가입자 자격을 유지할 수 있어요!
이름은 좀 어렵지만 ‘임의계속가입자’ 라고 불러요.
회사가 내주던 돈까지 본인이 전부 부담해야 해서 보험료가 2배 정도 될 수는 있지만, 지역가입자보다 싸게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비교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신청은 퇴직일로부터 2개월 안에! 가까운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가서 하면 됩니다.
👪 3️⃣ 가족의 피부양자로 들어가기
배우자나 자녀가 직장에서 건강보험을 내고 있으면, 본인은 따로 보험료를 안 내고 가족 보험에 피부양자로 들어갈 수도 있어요.
다만, 연 소득이나 재산이 일정 금액 이상이면 안 됩니다.
조건만 맞으면 제일 편하고 보험료도 안 드니 꼭 확인해보세요!
📑 신청할 때 필요한 준비물
✔️ 임의계속가입자 신청
신분증
퇴직증명서
임의계속가입 신청서 (지사에 비치)
✔️ 가족 피부양자 등록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소득 증빙서류
피부양자 등록 신청서
💰 보험료는 얼마나 될까요?
지역가입자는 소득, 재산, 자동차를 보고 계산해요. 보통 소득이 적으면 한 달에 10~15만 원 정도 나올 수 있어요.
임의계속가입자는 퇴직 전에 내던 직장보험료를 본인이 전액 부담합니다. 회사랑 반반 내던 걸 전부 내야 해서 조금 올라갑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보험료 모의계산’ 할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해보세요!
🏢 가까운 공단 지사 찾는 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고객센터 → 지사찾기’ 클릭
📍 전화 1577-1000 으로 물어보면 친절히 알려줍니다.
📍 스마트폰 쓰시는 분은 ‘The건강보험’ 앱 깔아도 됩니다!
📅 지사 방문은 예약하면 편해요!
요즘은 지사에 그냥 가면 사람이 많아 기다릴 수 있어요.
그래서 방문 예약을 하고 가시면 좋습니다.
공단 홈페이지 → 민원신청 → 방문예약
또는 1577-1000 전화로 예약 가능!
예약하고 가면 기다림이 훨씬 줄어듭니다. 😊
퇴직 후 건강보험, 꼭 끊기지 않게 하셔야 합니다!
요즘 병원비가 만만치 않아서 보험 없으면 정말 부담되거든요.
혹시라도 어려우면 가까운 지사에 전화나 방문해보세요.
직원분들이 친절하게 설명해 주십니다.
필요하다면 가족과 같이 가셔도 좋아요!
모두 건강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
'재테크 > 정부혜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60대를 위한 국민연금 수령 개시 시기와 현명한 재테크 전략 (5) | 2025.06.30 |
---|---|
주민센터 가면 받는 돈! 효도수당·장수수당·효행장려금 신청 방법 (0) | 2025.06.28 |
2025년 무료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하고 빠르게 신청하는 꿀팁! (3) | 2025.06.27 |
65세 이상 어르신 운전면허 반납하면 얼마 받나요? 지원금·혜택 한눈에! (6) | 2025.06.27 |
정부가 운동하면 5만원 준다?! 국민체력100 신청방법 + 후기 (3)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