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담

돈이 Money? - 돈을 창조한 인간. 왜 우리는 그 때문에 불행한가

by everyon 2025. 6. 23.
반응형

 

 

돈은 원래 '도구' 였다

 

 

우리는 더 나은 삶을 원했습니다.
그래서 물물교환의 불편함을 덜기 위해 ‘돈’이라는 개념을 만들었죠.

 

그 시작은 단순했어요.


그저 ‘교환을 편하게 하기 위한 약속의 표시’였을 뿐이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
우리는 그 약속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한 채 살아가고 있습니다.


 

돈이 많으면 성공, 없으면 실패?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은 돈으로 사람을 평가하기 시작했어요.

 

돈이 많으면 멋지고 성공한 인생처럼 보이고,
돈이 없으면 어딘가 부족하고 실패한 사람처럼 느껴지죠.

 

정작. 돈은? 우리가 만든 것인데,..
그 돈이 우리를 지배하고 판단하는 시대가 되어버린 겁니다.

 


 

한정되어 있고, 분배는 불균형하기 때문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무한하지 않고, 누군가 많이 가지면 누군가는 적게 가질 수밖에 없는 구조예요.

이 때문에 태어난 환경이나 기회가 다르면 노력과 상관없이 격차가 커지고,

돈이 부족한 사람은 기본적인 삶조차 유지하기 힘들어집니다.

 


 

돈 앞에서 무너지는 감정들

“돈이 없으면 불행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어서,

보통의 괜찮은 삶을 살고 있음에도 상대적 박탈감에 자신을 초라하게 느끼게 만들기도 하죠.

 

돈이 부족해서 가족이 갈라지고,
돈이 모자라서 친구와 멀어지고,...

 

돈 걱정 때문에 밤잠 설치는 날이 많아졌습니다.

 

가족 해체, 이혼, 우울증, 경쟁, 스트레스의 많은 원인이 사실상 ‘돈 문제’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존감, 인간관계, 정신 건강…

 

모든 것이 ‘돈’이라는 한 단어에 흔들릴 수 있다는 사실이 씁쓸하죠.


 

사회 시스템이 돈 중심으로 설계..

교육, 의료, 주거, 여가 등 삶의 거의 모든 부분이 ‘돈’과 연결돼 있어요.

이 구조 안에서는 사람이 아니라 자본이 우선되기 쉽고, 돈이 없으면 참여 자체가 제한되는 일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돈은 불행의 원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삶의 기회를 여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돈 자체가 아니라, 돈을 둘러싼 사회적 구조와 인간의 태도에 더 가깝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기본소득’이나 ‘가치 중심의 삶’, ‘돈 없이도 행복한 삶’ 같은 새로운 방향을 고민하는 흐름도 점점 커지고 있어요.

 

 

우리가 정말 원하는 건 '돈'이 아니다.

 

사실 우리가 진정 원하는건

삶을 살아가는 동안의 안정감, 사랑, 존중, 그리고 자유가 아닐까요?

 

돈은 그저 그것들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었을 뿐인데,
언제부턴가 수단이 목적이 되어버린 듯합니다.

 


 

세상의 틀에 흔들리지 말 것

 

세상은 여전히 돈으로 돌아갑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우리는 스스로를 지킬 수 있어야 해요.
돈이 전부는 아니니까요.

 

사람의 가치는 숫자나 지갑 속이 아니라,
오늘. 그 하루를 살아가는 태도와 마음 안에 있습니다.

 

그리고 그 마음은 돈보다 훨씬 더 단단하고 아름답습니다.

 

 

돈을 만들었지만, 그것에 지배당하지 말 것.
우리가 진짜 원하는 것은 숫자가 아니라, 사람답게 사는 삶입니다.

 

반응형